ΰ

‘프리스타일 태권도품새 여제’ 차예은, 세계선수권대회 2연패

최현석 기자 | 기사입력 2024/12/03 [09:57]

‘프리스타일 태권도품새 여제’ 차예은, 세계선수권대회 2연패

최현석 기자 | 입력 : 2024/12/03 [09:57]

▲ 17세 이상 여자부 우승자 차예은. 세계태권도연맹 제공(무예신문)


차예은(용인시청, 23)은 12월 2일 홍콩 콜로세움에서 열린 2024 WT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 3일차 경기에서 프리스타일 여자 17세 이상부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2022년 고양 세계품새선수권대회’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

 

1위로 결선에 오른 차예은은 가장 마지막 주자로 결선 무대에 올랐다. 전통적인 징소리 배경음악으로 묵직하게 시작, 좌중을 집중시키며 절제된 품새를 선보였다. 경기 중반부에는 EDM 비트가 더해지며 고난도 아크로바틱 기술들이 쏟아졌다.

 

특히, 이번 대회부터 규정 변경으로 어려워진 공중 가위차기를 6회 연속 성공시킨 뒤 720도 뒤후려차기와 공중 4단계 연속 발차기를 완벽히 소화하며 대미를 장식했다. 최종 9.280점을 기록하며 2위 덴마크 에바 샌드레센(8.74점), 3위 미국 앨리슨 데구즈만(8.74점), 4위 멕시코 세실리아 리(8.68점)를 큰 점수 차로 제쳤다.

 

▲ 차예은의 우승세레모니,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차예은은 “솔직히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오늘 경기가 만족스럽지 않았다. 자유품새를 하기에는 나이도 많고, 체력과 기술력 구사에 한계가 있어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었다. 이번 대회가 세계대회 자유품새 마지막 은퇴무대라 생각했기에 잘 마무리하고 싶었다. 이렇게 우승할 수 있어 너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차예은은 2022년 고양 세계선수권 우승을 시작으로 항저우 아시안게임, 청두 세계대학경기대회, 춘천 아시아품새선수권까지 모두 휩쓸며 태권도 품새 분야의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대한민국 태권도 품새의 간판이다.

 

이날 프리스타일 17세 이상 남자 대표로 나선 윤규성(한국체대, 22)은 예선 3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 무대에서 이번 대회 유일한 1,080도 회전 발차기를 완벽하게 성공시키며 탄성을 자아냈고, 최종 점수 9.34점(기술점수 3.76점/표현점수 5.58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예선부터 탁월한 기량을 보이며 1위를 지켜온 미국 에릭 권(한국명 권성현, 9.42점)에게 0.08점 차로 아쉽게 은메달을 차지했다.

 

애릭 권은 한국에서 엘리트 겨루기 선수 출신으로 미국으로 이민을 간 권기덕 사범(뉴저지)의 아들로 한인 1.5세이다. 이날 애릭 권 코치석은 아버지가 함께해 부자가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합작했다. 지난 2022년 고양 세계대회에서는 공인품새 단체전 1위를 차지했으며, 개인전에서는 2위에 올랐다. 이후 자유품새로 전향해 단 2년 만에 세계 정상의 자리에 오르며, 세계선수권 공인품새와 자유품새로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 남자 카뎃 부뭄에서 우승한 김정재,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한국은 이날 공인품새 남자부 개인전을 모두 휩쓸었다.

 

공인품새 부문 남자 유소년 개인전에 출전한 김정재(대전외삼중, 14)는 첫 세계대회 출전에도 불구하고 완벽에 가까운 경기력을 선보이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결승에서 대만의 콴푸 리우를 상대로 한 치의 흔들림 없는 집중력과 완벽한 표현력으로 경기를 주도하며 9.03점 대 8.93점으로 상대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남자 청소년 개인전에서는 국내 대회를 모두 휩쓸며 고교 선배들을 제치고 국가대표로 선발된 이진용(화곡중, 15)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번 대회에 골반 부상을 딛고 나 이진용은 결승에서 태국의 나윈 핀타수트와 팽팽한 접전을 펼쳤다. 품새의 정교함과 기술적 완성도로 결승에서 9.13점을 기록하며 8.970점을 획득한 나윈 핀타수트를 제압했다.

 

▲ 50세이하 남자부 우승자 김학동,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50세 이하 남자부 김학동(명장태권도장, 47)은 뛰어난 기량과 품새의 정교함으로 최정상에 올랐다. 이란의 강호 살마니 알리와 결승전서 맞붙었다. 금강과 천권 두 품새에서 한 치의 실수도 없는 막상막하의 승부 끝에 기술적 정확성과 표현성에서 앞서며 9.16점 대 9.05점으로 최종 승리를 거뒀다.

 

단체전에서는 금, 은, 동메달을 한 개씩 획득했다. 청소년 여자부 신유빈(흥덕고, 16), 한송연(화수고, 16), 이루다(부산정보고, 17)는 결승에서 강력한 라이벌 이란팀을 상대로 완벽한 호흡과 정교한 기술력을 선보이며 1차와 2차 품새 모두에서 우위를 점했다. 최종 9.14점 대 8.96점으로 압도적인 경기를 펼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조다혜(국가대표TS태권도장, 32), 김은주(태아일체태권도장, 40), 장명진(지인회태권도장, 35)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은 50세 이하 여자부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준결승에서 브라질 팀을 제압하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베트남 팀과의 치열한 접전 끝에 8.74점 대 8.79점으로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다.

 

공인품새 단체전 유소년부에서는 김련아(천안두정중, 14), 설가희(화랑초, 12), 명세희(북평중, 14)가 준결승에서 대만팀에 8.50점 대 8.55점으로 석패해 동메달을 차지했다.

 

이로써 이날 한국은 금 4개, 은 2개, 동1개를 추가하며 종합 선두 자리를 지켰다. 대회 13연패 우승에 한 발 더 다가서며 태권도 품새 강국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태권도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